[내맘대로 PSAT] 2021년 국가직 7급 "상황판단" 문제 12번
문 12. 다음 글을 근거로 판단할 때, 아기 돼지 삼형제와 각각의 집을 옳게 짝지은 것은?
○아기 돼지 삼형제는 엄마 돼지로부터 독립하여 벽돌집, 나무집, 지푸라기집 중 각각 다른 한 채씩을 선택하여 짓는다. ○벽돌집을 지을 때에는 벽돌만 필요하지만, 나무집은 나무와 지지대가, 지푸라기집은 지푸라기와 지지대가 재료로 필요하다. 지지대에 소요되는 비용은 집의 면적과 상관없이 나무집의 경우 20만 원, 지푸라기집의 경우 5만 원이다. ○재료의 1개당 가격 및 집의 면적 1m2당 필요 개수는 아래와 같다. ○첫째 돼지 집의 면적은 둘째 돼지 집의 2배이고, 셋째 돼지 집의 3배이다. 삼형제 집의 면적의 총합은 11m2이다. ○모두 집을 짓고 나니, 둘째 돼지 집을 짓는 재료 비용이 가장 많이 들었다. |
첫째 둘째 셋째
① 벽돌집 나무집 지푸라기집
② 벽돌집 지푸라기집 나무집
③ 나무집 벽돌집 지푸라기집
④ 지푸라기집 벽돌집 나무집
⑤ 지푸라기집 나무집 벽돌집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내맘대로 풀이
무엇을 구해야하는가
문 12. 다음 글을 근거로 판단할 때, 아기 돼지 삼형제와 각각의 집을 옳게 짝지은 것은?
글 | 생각 |
○아기 돼지 삼형제는 엄마 돼지로부터 독립하여 벽돌집, 나무집, 지푸라기집 중 각각 다른 한 채씩을 선택하여 짓는다. |
집의 종류는 3가지이다. |
○벽돌집을 지을 때에는 벽돌만 필요하지만, 나무집은 나무와 지지대가, 지푸라기집은 지푸라기와 지지대가 재료로 필요하다. 지지대에 소요되는 비용은 집의 면적과 상관없이 나무집의 경우 20만 원, 지푸라기집의 경우 5만 원이다. |
벽돌집 = 벽돌 나무집 = 나무 + 지지대(20만) 지푸라기집 = 지푸라기 + 지지대(5만) |
○재료의 1개당 가격 및 집의 면적 1m2당 필요 개수는 아래와 같다. |
★재료비용 구하는 공식이 나왔네 벽돌집 재료비용 = ㅂ면적*15*6,000 나무집 재료비용= ㄴ면적*20*3,000 + 200,000 지푸라기집 재료비용= ㅈ면적*30*1,000 + 50,000 |
○첫째 돼지 집의 면적은 둘째 돼지 집의 2배이고, 셋째 돼지 집의 3배이다. 삼형제 집의 면적의 총합은 11m2이다. |
첫째 면적 = 둘째 면적 *2 첫째 면적 = 셋째 면적 *3 첫째 + 둘째 + 셋째 = 11 첫째 6+ 둘째 3+ 셋째 2 = 11 |
○모두 집을 짓고 나니, 둘째 돼지 집을 짓는 재료 비용이 가장 많이 들었다. | 둘째 비용 > 첫째 비용, 셋째 비용 |
구 분 | 벽돌 | 나무 | 지푸라기 |
1개당 가격(원) | 6,000 | 3,000 | 1,000 |
1m2당 필요 개수 | 15 | 20 | 30 |
(재료비용)
벽돌집 재료비용 = ㅂ면적*15*6 = ㅂ면적*90
나무집 재료비용= ㄴ면적*20*3 + 200 = ㄴ면적*60+200
지푸라기집 재료비용= ㅈ면적*30*1 + 50 = ㅈ면적*30 + 50
(면적 )
첫째 면적 6+ 둘째 면적 3+ 셋째 면적 2 = 11
(제한 조건)
둘째는 면적이 3m2이지만, 첫째 면적 6m2보다 재료비용이 가장 많이 들어야 한다.
(대입)
6을 벽돌에 대입하면 540, 나무에 대입하면, 560, 지푸라기에 대입하면 230.
3을 벽돌에 대입하면 270, 나무에 대입하면 380, 지푸라기에는 굳이 대입 하지 않는다.
∵ 첫째 면적을 대입한 값보다 둘째 면적을 대입한 값이 큰 것을 구하면 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6을 지푸라기에 대입하고, 3을 벽돌, 나무에 대입했을 때, 둘째가 첫째보다 재료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선지 1, 2, 3은 소거된다.
셋째가 둘째보다 재료비용이 작은 경우를 구하기 위해
2을 벽돌에 대입하면 180, 나무에 대입하면 320이 계산된다.
둘째, 셋째 조합 = (270, 320) or (380, 180)이 가능한데
둘째 재료비용이 셋째 재료비용보다 많은 조합은 (380, 180)이다.
따라서, 둘째가 나무집을 짓고, 셋째가 벽돌집을 지었다.
선지 선택
첫째 둘째 셋째
① 벽돌집 나무집 지푸라기집
② 벽돌집 지푸라기집 나무집
③ 나무집 벽돌집 지푸라기집
④ 지푸라기집 벽돌집 나무집
⑤ 지푸라기집 나무집 벽돌집